그런데 참 답답하다 공짜 블로그형 홈피로 얼마든지 할수도 있는데 끝까지 천편일률적인 홈페이지를 만들겠단다 그래서 몇가지 유의해야할 사항을 정리해봤다
본인도 견적을 위해서 인건비를 산출할때 사실 아래 도표처럼 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서 발표하는 기준에 의해 견적을 내곤한다
그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아시겠지만 아래 기준에 부합하는 능력과 자격을 가진 개발자가 대부분 회사나 프리랜서는 없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아래 도표에 고급기술자나 중급기술자 수준으로 인건비를 한사람당 월500여만원으로 책정하는게 일반적인다. 실질적으로는 월 2백에서 3백 정도 수준이 적당한 경력임에도.....
물론 홈페이지나 기타 IT프로젝트 견적시 비용은 원칙적으로 인건비+제경비+기술료 이렇게 3가지 항목을 넣는 것이 정부나 대형기업 견적시 일반적인데 대부분의 개인이나 기업들이 이런 항목들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를 최대한 부풀려 인건비 위주로 견적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더더욱 사실 기획료 등은 아예 대부분 기업들이 알지도 못한다 ㅎㅎㅎ
한국소프트웨어 산업협회 발표 2009년 기준
【2009년 공표임금: 일 급여 기준】
(단위:명,원,%)
구 분 |
2009년 조사인원 |
노임단가 |
전년대비 | |||
2007년도 |
2008년도 |
2009년도 |
증가액 |
증가율 | ||
기술사 |
231 |
290,938 |
339,988 |
356,999 |
17,011 |
5.0% |
특급기술자 |
6,734 |
273,664 |
300,570 |
314,773 |
14,203 |
4.7% |
고급기술자 |
5,990 |
215,166 |
225,306 |
228,833 |
3,527 |
1.6% |
중급기술자 |
5,378 |
174,432 |
187,566 |
190,248 |
2,682 |
1.4% |
초급기술자 |
8,254 |
136,290 |
140,198 |
141,761 |
1,563 |
1.1% |
고급기능사 |
1,763 |
112,910 |
116,845 |
126,106 |
9,261 |
7.9% |
중급기능사 |
1,549 |
99,834 |
101,158 |
109,777 |
8,619 |
8.5% |
초급기능사 |
1,143 |
75,128 |
80,993 |
86,961 |
5,968 |
7.4% |
자료입력원 |
1,108 |
|
|
48,493 |
|
|
* 자료입력원의 노임단가는 2009년 최초 조사로서 ‘기본급여’만을 산정한 수치이며, 기본급여+제수당+상여금을 모두 포함할 경우의 노임단가는 67,032원임.
* 노임단가는 일 급여 기준이며, 2009년의 월평균 근무일수는 21.6일임.
* SW기술자 공인노임단가는 2008년 대비 평균 0.84% 증가함.
<등급별 조건>
기술 등급 |
기술자격자 |
학력ㆍ경력자 |
기술사 |
ㆍ기술사 |
|
특급 기술자 |
ㆍ고급기술자 자격 취득 후 3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
고급 기술자 |
ㆍ중급기술자 자격 취득 후 3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ㆍ박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기사자격 또는 지식경제부장관이 고시하는 해당 등급의 공인민간자격을 취득한자 |
|
중급 기술자 |
ㆍ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3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ㆍ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7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ㆍ지식경제부장관이 고시하는 해당 등급의 공인민간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3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자 ㆍ기사자격 또는 지식경제부장관이 고시하는 해당 등급의 공인민간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석사학위 취득 후 2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자 |
|
초급 기술자 |
ㆍ기사 자격을 취득한 자 ㆍ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ㆍ지식경제부장관이 고시하는 해당 등급의 공인민간자격을 취득한 자 |
ㆍ전문학사 이상의 학위를 가진 자 ㆍ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3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고급 기능사 |
ㆍ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4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ㆍ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7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
중급 기능사 |
ㆍ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 ㆍ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3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
초급 기능사 |
ㆍ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 |
|
자료 입력원 |
ㆍ특별한 자격 요건 없음 |
|
1. “소프트웨어기술자”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정보처리 분야의 기술자격 취득한 국가기술자격자 및 소프트웨어기술을 가진 학력ㆍ경력 기술자로 구분한다.
가. “국가기술자격자”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정보처리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나. “학력ㆍ경력기술자”란 정보처리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은 없으나, 소프트웨어기술을 가진 자로서 소프트웨어사업자로 신고한 업체 또는 소프트웨어 기술분야에서 일정기간동안 근무한 자를 말한다.
2. 국가기술자격 종목(정보처리 분야) : 정보처리기능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정보관리기술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술사
3. 해당 기술(기능) 분야 업무 범위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7조의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의 세부분야를 의미함
비용 외에 기본적으로 홈페이지 구축시에는 사용목적과 관리적인 측면을 최우선 고려해야한다
1. 사용목적에 따른 홈페이지 구성 결정
우선 단순히 회사나 상품을 소개하는 페이지 위주라면 일반적인 무료 템플릿을 사용해서 간단히 작성이 가능하
니 어떤 내용을 넣을건지 우선 정리해서 회사나 프리랜서에게 견적을 요청한다
기본적으로 회원가입, 게시판,문의양식 등은 일반적인 무료 홈페이지 솔루션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2. 관리
만약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관리가 필요하다면 이런 측면에서 쉽게 관리와 업데이트가 가능한 홈페이지 솔루션을 써야한다 이역시 대부분 홈페이지 솔루션 업체에서 어드민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솔루션을 이용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홈페이지를 제작 할경우는 호스팅 업체들에서 제공하는 무료 또는 저렴한 홈페이지 솔루션(업,직종별로 다양한 솔루션이 있음)을 이용하고 거기에 필요한 디자인만 간단히 수정해서 사용하면된다
다만 특별히 자신만의 기능이 필요하다면 자신이 필요한 부분을 정리해서 알바몬 등에 홈페이지 구축 구인광고를 내고 견적을 받아 선택하면 된다 이때는 물론 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경력등을 검토해서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요사이 작은 업체들이 알바몬에 개인이름으로 마치 프리랜서 처럼 등록 편법적으로 오더를 따려구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잘 확인해야한다
똘똘한 프리랜서 잘 만나면 큰 회사에 들어갈 비용에 반정도면 얼마든지 홈페이지 구축과 유지관리까지 가능하다
'黃家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V vs 인터넷TV vs 다음/애플 TV (2) | 2012.04.26 |
---|---|
제 블로그 글을 도용한 책이 출판 됐습니다(!). 저작권 침해 법적대응하려 합니다 (5) | 2011.04.12 |
한경닷컴 bnt인터뷰 "패션업계 아이폰 열풍 거세다"-황철희- (0) | 2010.01.15 |
국내 홈페이지,웹사이트구축 및 솔루션업체 조사 (4) | 2010.01.05 |
[파일첨부]인터넷 사이트 개인정보보호관련 규정 및 구축가이드 (0) | 2009.12.29 |